Korean Language & Literature EE 고득점, Part 2, 2017 졸업 코리안, 한국어
View chang99hk's Full Store
본 문서는 2017년 Korea Language and Literature과목 EE입니다. 이 EE는 Category 2인 문학파트로, “동서양의 문학작품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욕구충족과 행복의 상관관계는 무엇일까?” 라는 주제를 가지고 두 문학을 비교 분석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이 문서는 predicted grade와 final grade 모두 A를 받았습니다.
[목차]
제 1장 서론3
제 2장 본론4
2-1. 욕망이란 맥락 속 행복과의 상관관계4
2-1-1. 욕망의 구조와 이해4 – 5
2-1-2. 행복사회의 조건5
2-2. 문학작품에 녹아 든 가치관6
2-2-1. 결핍과 풍족 <물레방아>6 – 10
2-2-2. 희비의 교차 <목걸이>10 – 14
제 3장 결론15 – 16
참고문헌17
[본문내용]
개요
이 논문의 연구 문제는 인간의 원초적 욕망에 관한 견해와 잠재적 가치관이 만족스러운 범위 내에서 충족 됐을 때 수반하는 행복이 둘 사이에서 상관관계를 이루는가를 알아보는 것에서 시작한다. 더불어 문학작품에서 인물이 가지고 있는 본능적 욕구를 충족하는 과정 중, 주변환경이나 특정사건에 영향을 받아서 나타나는 변수 또한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번 논문에서 선택한 두 문학작품은 비교적 간단한 단편소설로 분류될 수 있는 것들이다. 동양 작품인 나도향의 <물레방아>와, 서양 작품인 귀 드 모파상의 <목걸이>를 중심으로, 인물이 본래 가지고 있던 갈망을 해소하는 과정이 각각 어떠한 방식으로 귀결되는지 분석한 후 결론을 맺었다. 한가지 유의할 점은, 이 논문 자체가 동서양의 가치관의 차이를 다루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종을 막론하고 인간본연의 욕망은 동일하다는 전제하에 연구를 진행했다는 사실을 인지해두길 권유한다. 또한 다소 난해하고 현실적인 문학작품보다는, 흔히 나타나는 일명 ‘욕심쟁이’ 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간결하고 교훈적인 작품을 통해 인물들과 배경이 욕망에 관한 주제와 상관성을 가지는 것에 어떠한 방식으로 기여하고 있는지 분석했다. 소설 특유의 미학적인 관점 속에 숨겨진 인간의 참된 욕망과 행복에 대한 갈망이 왜 비극 또는 희극을 선사하는지도 해석해보았다.
이 논문의 조사 방법은 두 작품 속의 여러 인물을 통해 나타난 욕구충족과 행복의 상관관계를 유럽 철학자인 포이어바흐의 <인간이야기>와 와 양해림 교수가 지은 욕망에 관한 저서를 근거로 분석했다. 또한, 작품의 공간적 배경과 사회문화적 가치관을 모두 포함하는 맥락적 관점에서 행복의 추구가 어떻게 개인과 공동체 삶에…
- 총 페이지수: 16 pages
- 과목명: Korean A Literature
- 주제: 동서양의 문학작품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욕구충족과 행복의 상관관계
- The file is in PDF format.
Download Detail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EE 고득점, Part 2, 2017 졸업 코리안, 한국어
0 sal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