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language & Literature EE(Extended Essay) A

View dohunset's Full Store

본 문서는 2019년 Extended Essay과제에 제출했던 자료입니다.

 

[목차]

 

[본문내용]

제1장 서론

시란 짧고 함축적 글 안에 제약 없는 소재와 시인, 시대를 담을 수 있는 위대한 문학이다. 이영준(2013)에 의하면, 시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는 인간의 사상, 감정, 표현 등을 압축적인 단어로 표현한 문학이다. 자연이나 인생을 고찰하며 북돋아지는 감흥과 사상 따위를 함축적이고 운율적인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다(네이버 국어사전). 문학의 세계를 언어에 의한 내적 경험의 외면화라고 표현한다면, 문학작품은 작가의 삶의 기록과 자기 존재의 동일성을 찾아가는 과정의 일면이라고 볼 수 있다(강희안, p. 23). 따라서 시인의 삶과 시는 독립적인 관계로 볼 수 없다. 사랑을 노래하던, 우정을 노래하던 자신이 경험하고 해석한 감정을 서술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 시대를 살아감에 있어 시인이 당면한 현실에서 북돋아지는 자각과 신념 등은 시의 근본정신과 가까이 밀접해 있다. 시어는 그러한 시인의 정서를 전달하는 가장 중요한 매개체라고 할 수 있다. 시어가 내포하고 있는 함축적 의미를 통해 시인이 어떻게 사물을 바라보는지, 또 사물과 현상, 인류의 어떠한 특징을 눈여겨 보는지 사상과 가치관을 유추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초점을 두고자 하는 시인의 자연적 시어 활용에서의 자연은 인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모든 현상이라는 뜻이 아니라, 저절로 생겨난 산, 강, 바다, 식물, 동물 따위의 존재를 의미한다(네이버 국어사전). 이육사와 백석은 대한민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인들이다. 두 시인 모두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독립을 염원하고 그에 대한 정신을 시 속에 녹여낸 문학가이다. 특히, 두 시인은 자연의 시어, 이미지, 정서를 자주 노래하였다. 그러나 다른 삶을 살아가며 표현하고자 했던 의미와 채용한 이미지에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두 시인의 자연을 바라보는 인식, 즉 자연관이 어떤 시적 의미를 형성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것은 시인을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알아볼 것이다…

 

  • 총 페이지수: 23 pages
  • 과목명: Korean
  • 주제: 이육사와 백석의 자연물 활용 방법: 일제강점기 시를 중심으로
  • The file is in PDF format. 
40,000 원 – 장바구니에 담기

Download Detail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EE(Extended Essay) A

0 sales

40,000 원 – 장바구니에 담기

Dohunset Copyright dohunset 2023

IB Diploma Campus